https://galleryjone.imweb.me/admin/config/etc

Review

창조를 위한 해체해체된 텍스트 이후의 텍스트

박종태의 예술세계 



1. 예술의지(Kunstwollen)의 방향


   조각가 박종태는 파쇄한 종이를 이용한 다양한 입체작업으로 인지도가 높은 작가이다. 그는 청년작가시절부터 남다른 시선으로 사물들을 관찰해왔고, 일정한 모양을 유지하고 있는 사물들의 구조를 해체하여 또다른 조형적 요소를 드러내는 일에 천착해왔다. 이를테면, 푸른색 양주 유리병을 수건에 싸서 파쇄한 다음, 파쇄된 모양을 그대로 패널에 부착하여 또다른 의미연관(意味聯關)을 보여준 작품이라든가, 철망을 잘게 부수어 그 조각들을 다시 응집해서 만든 원통형 입체 작품, 또는 나무의자나 박스를 부수어 특유의 조형물로 조립한 작품 등, 작가는 사물들의 용도를 박탈하여 재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조형의 새로운 깊이와 의미를 추구해왔다.


   오늘날 건축분야에서 이미 지어진 건축물의 시멘트 벽을 해체하여 새로운 공간이 드러나게 하는 새로운 경향도 엿볼 수 있듯이, 작가의 예술의지의 방향은 조각가로서 ‘조형물을 만든다’는 기본 행위를 전복시키면서 사물과 구조의 또다른 이면을 드러내는 쪽으로 향하고 있다. 요컨대 이 작가에게 있어 만든다는 행위는 부수는 행위 이후의 재창조라는 문맥과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2. 예술매체 확산으로서의 파쇄된 종이지식과 정보의 재구축


   작가는 다양한 책들과 문서들을 파쇄기에 넣어 잘게 부순다. 이 중에는 미술관련, 사회과학, 역사 정치학 관련 서적들 뿐 아니라, 문학서적들과 다수의 관공서 서류들 및 일간지와 광고지들도 포함된다. 이처럼 파쇄된 종이들을 먹과 수성물감, 수성접착제를 이용해 패널 위에 일일이 쌓아올린다. 직접 손으로만 작업하기 때문에 손자욱이 들어나기도 하고 그 두께와 요철(凹凸)이 고르지 않은 부분도 있지만, 이 또한 작가의 의도를 반영한다. 말하자면, 손의 사유(思惟)를 통한 마음의 흔적들을 그대로 드러나게 함으로써, 감상자들로 하여금 종이의 지층(地層)에 쌓인 작가의 노동과 정신의 질량(質量)을 음미케함으로써 선적(禪的) 평정심(平靜心)으로 유도하고자 하는 의도도 내재해 있다. 작가 자신이 작업을 통해 쌓아간 수행의 노정만큼 감상자에게도 직관될 수 있는 것이 작품의 세계이다. 이같은 종이 작업의 초기작품으로는 도서관의 폐기 서적을 오브제로 하여, 그 위에 파쇄된 종이들을 쌓아놓은 작품도 있고, 또한편 책 판을 여러 겹 겹쳐놓은 위에 홈을 파고, 그 위에 새싹이 올라오는 모양으로 형상화한 작품도 눈에 띈다. 책 판 위의 새싹은 폐기된 지식을 거름으로 하여 다시 피어나는 또다른 희망에 대한 메시지이기도 하다. 이처럼 작가는 예술매체와 공간의 다양한 변용을 통해 지식과 정보의 해체와 재구축을 시도한다.


   오늘날과 같은 지식과 정보의 홍수 시대, 인간은 오히려 파편화된 정신과 소외, 그리고 불확실성과 불안의 시대정신 속에 표류하고 있다. 이에 대한 자의식을 표출한 것이 높이 1미터 30센티 크기의 중앙공간 설치작업이다. 됫박과 같은 상자 속에서 파편화된 지식과 의식의 파편들이 재처럼 바닥으로 쏟아져내리는 작품인데, 파쇄종이를 석고와 수성 바인더로 고착시켜 먹으로 채색한 것이다. 이같은 작업의 프로세스를 음미하면서 벽면의 작품들을 감상하면 이해의 문맥이 보다 선명해진다. 얼핏보면 단색조의 미니멀한 작품들처럼 보이지만, 실은 많은 메시지가 담겨있고, 그 의미연관도 깊어진다. 평면에 가까운 색면의 톤과 요철의 질량감, 촉각적인 매스와 매체의 형태적 환원 등의 조형적인 변용을 넘어 파쇄종이들의 집적 사이로 간간이 보이는 숫자나 기호와 글씨의 파편들이 텍스트의 일부를 암시하기도 한다. 이처럼 모든 작품들은 현실의 삶과 관계된 다양한 암호들의 파편으로 가득 차 있다.


   이번 전시장 한 벽면은 회색톤의 세로 30센티 가로 22센티의 작품 30점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예정이고, 다른 벽면에는 30호, 10호 사이즈의 검정색, 회색, 흰색, 붉은 색의 입체그리드 작품들이 톤을 달리하면서 설치될 것이다. 기하학적인 그리드는 본래 1960년대 초, 추상적이고 비관계적인 예술을 하는 화가와 조각가들이 논리와 조화, 통일성을 위해 선택하였던 중성적인 구조 혹은 도구였었다. 그러나 이 작가의 작품에서 만나는 그리드는 마음의 상태와 색채감정을 표현하는 악보와 같은 것으로, 촉각적인 손맛의 층차와 잡다한 텍스트 해체 이후의 또다른 텍스트를 대면케 하는 장치로 읽혀진다.


3. 동양의 정신과 서양의 현대적 조형감각의 조화 


   올해 24회로 개최되는 스위스 취리히의 쿤스트 아트페어에 참여하는 이 작가는 이전에도 같은 아트페어에서 매우 각광을 받았었다. 이 번에는 동양에서 유일하게 참여하게 되었으며, 그런 점에서 더욱 이 작가의 동양적 예술사유가 돋보이게 되리라 생각된다. 이제는 많은 작가들이 동서양 예술정신의 간극을 넘어 하나로 조화 융합되어가는 시대이다. 이 작가의 작품들은 오늘날의 문화체계와 지식 정보사회의 허상에 대한 남다른 시선과 정신적 대안을 모색하는 선적 수행 및 명상의 태도에서 진행된 결과물이다.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으면서도 동양의 전통매체인 먹을 주로 사용하여 우주의 현색(玄色)이 품고 있는 정신적인 깊이와 현대적 감각을 아우르고 있어 주목된다. 동‧서양 예술사유의 조화로 빚어낸 작품들이 많은 이들에게 감응(感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장미진(미술평론가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과정 예술학 전공교수)



Dismantled for creation,text after the disassembled text

park jongtae of the art world-


 1)direction of art

park jongtae is a high awareness writers in a variety of three- dimensional work using a closed piece of paper.

He oetgo to observe things with extraordinary attention from young artists childhood,it seach the day to dismantle the structure of things that are a constant look reveals another figurative elements oetda.

For instance, one a blue glass liquor bottle wrapped in a towel crushing claimed, then attached to the crushed shape as the panel haya another meaning

associated works,untong-type three- dimensional artwork created by finely crushing the wire agglomeration the pieces again. including a smash or a box or a piece of wood assembled with a unique sculpture,the artist has been pursuing a new depth and meaning of the plastic through a

process of rebuilding to deprive the purpose of things.

As can be seen in today's new trend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to reveal the new space has already been dismantled,it built a cement wall water livestock,

Art Direction will the artist creates a sculpture as a sculptor, while the overthrow of the basic acts are heading toward yet another expose the back side of the objects and structures.

Act makes it more than i pray for this writer it can be said that contact with the context that recreated after crashing behavior.



2)Spread shredded paper as a medium of art, re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Photographer crashes chopped put in a crusher various books and documents.

among these it is also included art, social sciences, history, political science, as well the books, literary books and a number of government papers and newspaper with ads fingers.

such build up individually on the panel with a modified paint, water-based adhesive and feed the shredded paper.

because the hand only direct jobs,but also part of its thickness and uneven yeocheol do, this also reflects the artist's intention.

anyway,as reminded by the drive trail through the heart of the reason for the hands,let the intent to induce viewers to enjoy the artists work and mental composure by mass shipment of cake piled on the ground floor of the paper is to also implied.

it is a world of work that can be contect author himself also as conducted between the exposed steel box stacked over the job.

The initial work of such paper work and also the work place to the disposal of library books as objects,piling shredded paper on it,on the other hand the chaelpan digging the groove on the number of superimposed,,he works on a bud shaped necks to look alsonoticeable. sprout above board book is also a message of hope to rebloom another by the knowledge manure disposal.

thus, the artist attempts to dismantle and re-deploy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a variety of artistic media and transformation of space. knowlege and informaton ,such as today's flood era,humans have drifted into estuaries rather than the spirit of the fragmented mental and alienation, and the uncertainty and anxiety. thus for 1meter high 30 hangeotyi expressing conscious cm size is the central installation space. inde fragments of consciousness and fragmented knowledge on the box in their work, such as pouring down to the ground like material,to adhere the shredded paper to the gypsum and waterbased binder is a colored with ink.

if you admire the work of these walls and enjoy the work process becomes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at first glance, it is also deepening joao pride like a minimalist work of monochrome, in fact ,there are he color field close to a flat tone and uneven mass sense,some of the tactile and the mass media in the form of ever crossing the figurative transformation,such as the reduction of shredded paper intermittently visible between jikjeok numbers or fragments of text and paragraph it implied. all of these works are filled with fragments of various passwords related to real life. the exhibition hall will be installed at a regular interval of 30 points of work of 22 centimeters of vertical 30 centimeters of grey tones. the other wall will be installed with a 30-issue,10-size black,grey, white, and red-colored stereoscopic grid. the sadistic grid was originally in the early 1960s, when painters and sculptors doing abstract and non-relational are were in harmony with the logic, it was the choice of a neutral structure or tool for unity. however, the grid met in the work of the artist is the same as the sheet music that expresses the state of mind and the color emotion, it is read as a device that faces another text after a layered car and miscellaneous text dissolution of the bachelor-of-hand taste.



3) harmony of modern formative senses of oriental psychiatry

the artist, who participated in the kunthe art fair of swiss chuhi, held the 24th circuit this year,was also very popular in the same art fair.

this was the only participation in the orient, in that respect, the reason for the oriental art of the artist will be flattering. it is now the era when many artists have crossed the gap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art spirit. this is the era in which the artists are fused together beyond the gap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art spirit. In spite of being social message ,it is noteworthy that we use mainly in oriental tradition to eat the mental depth and the modern sense that the color of the universe is fed. we look forward to being able to meet many of the works of harmony between the western and the art.


jangmijin(Professor of Fine Arts, Daegu Catholic University doctoral program)